라즈베리파이로 NAS DIY (6) - webdav 설정
이제 하드디스크 인식,마운트 까지 완료했다면
접근권한 관리 - 공유폴더로 가준다.
추가를 누른뒤 이름과 장치를 입력한다.
아 그리고 항상 뭔가 설정을 건드리면 저장 후 적용을 반드시 눌러줘야 한다.
이제 공유폴더가 생겼다면,
본래 목적인 노트북에서의 nas이용을 위해서
쉽게 쓰게 만들어줄
webdav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시스템 - 플러그인 에 들어가서
검색창에 webdav라 치고 클릭후 설치버튼을 누른다.
webdav는 http(하이버 텍스트 프로토콜 이라고 하는 매우 유명한 웹 전송 방식) 의 약간 확장판 개념 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http는 읽기만 가능하다면 webdav는 확장판 개념이라 읽기, 쓰기 전부 가능하다. 그래서 이걸 nas에 쓸수 있다.
또한 webdav는 엄연히 웹을 사용하므로 보안도 다른 프로토콜 방식에 비해 우수하다.
왠만하면 이걸 쓰자.
다운받은 후에 서비스에 보면 webdav 란이 새로 생겨있다.
클릭하고
파일 리밋은 알아서 해준다.(본인은 영화를 다운/업로드받기 위해 10기가로 설정)
여기에서 공유폴더를 설정해주면 밑에 빨간 글시로 경고문이 나온다. 쓰기 권한이 없다고......
설정해주러 가자.
접근권한 관리 - 공유폴더 로 간다.
아까전에 만들어둔 공유폴더가 보인다.
여기에서 접근제어 목록 이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저렇게 뜨는데,
webdav와 webdav-user 에게 읽기/쓰기 권한을 준다.
그리고 재귀적으로 - 파일과 디렉터리에 권한을 적용 을 활성화 해준다(사진을 잘못찍음)
적용을 누르면 webdav 설정에서 경고문이 사라져있다.
다음으로,
접근권한관리 - 사용자 로 들어가서 편집 버튼을 누른다.
들어가서 그룹탭으로 바꾸고 webdav-users를 체크해준다.(users는 체크되어 있을것이며 체크 안되있다면 체크해주기.)
저장 버튼을 누른다.
그러고 나서 다시
서비스 - webdav로 가준다.
show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창이 하나 뜨는데,
이때는
접근권한 관리에서 설정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뜨면서 성공이다.
폴더를 만들 수 있고, 파일을 업로드 시킬수 있다!
이렇게 nas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아직 본인은 윈도우에서 더 편하게 폴더처럼 쓰고 싶기에
raidrive를 쓰게 되는데....
7편으로 넘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