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즈베리파이

(8)
라즈비안/NOOBS/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 os 이전버전 다운받기 http://downloads.raspberrypi.org/ Index of / downloads.raspberrypi.org 해당 주소는 라즈베리파이 재단의 다운로드 서버 url이다. (디자인 없고 그냥 진짜 기본적인 서버로 해놓음. 돈이 없어서인가) 일단 들어가면 이렇게 뜬다. 라즈베리파이 공식 홈페이지(https://www.raspberrypi.org/)에서 배포하는 프로그램과 os버전, 문서들 및 메뉴얼이 다 있다. 이름 최근수정날짜-최신버전 배포일 AstroPi/ 2017-09-04 15:41 AstroPi_NOOBS/ 2020-01-08 10:11 AstroPi_lite/ 2018-12-03 16:23 NOOBS/ 2020-02-14 13:47 NOOBS_lite/ 2013-12-24 10:5..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 (7) - 포트포워딩 이제 밖에 나갈일이 있어 외부네트워크에서도 접속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포트포워딩을 하려고 한다. 포트포워딩이란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접속 할 때 "네트워크 게이트"를 지나게 되는데 이 네트워크 게이트에 설정을 해주어 내부 네트워크의 일정 주소로 접속하게 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네트워크 게이트는 홈 네트워크에서는 보통 공유기가 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설정을 하려면 공유기 관리사이트로 들어가 주면 된다. 방법은 cmd에다가 ipconfig라고 치면 된다. IPv4 주소 라고 써져있는게 현재 쓰고 있는 컴퓨터의 내부 네트워크 주소이며 기본 게이트웨이 라고 써져있는 192.168.0.1이 홈 네트위크의 네트워크 게이트의 주소이다. 쉽게말해서 그냥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 ip주소이다. 혹은..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 (6) - webdav 설정 이제 하드디스크 인식,마운트 까지 완료했다면 접근권한 관리 - 공유폴더로 가준다. 추가를 누른뒤 이름과 장치를 입력한다. 아 그리고 항상 뭔가 설정을 건드리면 저장 후 적용을 반드시 눌러줘야 한다. 이제 공유폴더가 생겼다면, 본래 목적인 노트북에서의 nas이용을 위해서 쉽게 쓰게 만들어줄 webdav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시스템 - 플러그인 에 들어가서 검색창에 webdav라 치고 클릭후 설치버튼을 누른다. webdav는 http(하이버 텍스트 프로토콜 이라고 하는 매우 유명한 웹 전송 방식) 의 약간 확장판 개념 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http는 읽기만 가능하다면 webdav는 확장판 개념이라 읽기, 쓰기 전부 가능하다. 그래서 이걸 nas에 쓸수 있다. 또한 webdav는 엄연히 웹을 사용하므로 보..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5) - OMV설정 - 하드디스크 인식편 자 이제 하드 연결이 되었다고 하고 omv에 들어간다. 먼저 시스템 - 일반 설정에 들어간다. 일반 포트가 80으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본인은 딱히 바꿀 필요성을 못느낌) 3편을 보고왔다면 알겠지만 80포트가 원래 기본설정이다.(알아서들 바꾸거나 그대로 쓰거나 하길 바람.) 오토 로그아웃.... 애를 각자의 취향대로 해준다.(5분 하면 처음 설정때 빡세니 처음 설정할때만 비활성화로 바꾸는걸 추천) 참고로 비활성화 시 내가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여전히 로그인되어 접속되있는게 될수 있으니 시간 설정을 하는것도 나쁘진 않다. 그리고 이제 저장소 - 디스크로 가준다. 그러면 아까전에 뻘짓한 하드가 인식되어있다. 만약 인식이 안된다면 검색 버튼을 눌러 다시 찾거나 리부트 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디스크 - 파일 시..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4) - 2.5인치형 usb to sata 샀다가 한 뻘짓 omv설정은 5편에서 계속되므로 이번편은 개뻘짓임을 미리 고지한다. 아, 혹시라도 최저가로 나스를 만들고 싶어서 1편에서 만약 2.5인치형 usb to sata를 샀다면 꼭보고 하드 도킹스테이션을 사는것을 다시한번 고려해보자. ㅎㅎ 먼저 나의 생각은 이러하다. usb로 5v공급밖에 안되니깐 12v도 공급해주면 3.5인치형 하드도 3천원짜리 usb to sata로 인식할 수 있지 않을까? 된다. 아주 잘된다........ 일단 먼저, 2.5인치형 ssd. 인식이 잘된다.(데탑 분해시켜서 나온 물건이다. ㅇㅅㅇ) 하드디스크...........3.5인치이며 12v 0.5A, 5V 0.5A를 먹는다. 역시 인식이 안되며 하드가 돌아가는 소리도 안들린다. 자, 그럼 인식이 되게 만들어보자~^^ 자 그럼 이제 배송..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 (3) - omv설정 -1 이제 다 깔았으면 hdmi포트를 연결하여 모니터에 띄운다.(라즈베리파이 전용 터치모니터는 여기서 작동을 안한다.) 사진을 찍은게 없으므로 글로 대신한다(못 알아 듣는 부분은 언제든, 댓글을 달아주시길....) 처음 셋팅에(부팅에) 로그인 : 이런게 뜨는데 root를 입력하고 기다린다. 그러고 나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뜨는데 openmediavault 를 치면된다. 그러면 이제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한다 그리고 확인차 한번더 치라고 한다 비밀번호 설정이 끝났다면 드디어 라즈베리파이의 내부ip주소를 알아내어(처음 설정할때 모니터에 ip주소가 뜬다.) 그쪽으로 접속한다 본인은 192.168.0.5로 잡혀서 이렇게 떠야 정상이다. 필자는 네트워크 연결이 거부당했다. ------------------아래..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 (2) - 라즈베리파이에 OMV설치 이제 sata to usb가 올동안 라즈베리파이에 OMV를 설치하면 된다. OpenMediaVault는 nas용으로 특제(?)된 리눅스 기반 무료베포 나스 운영 프로그램이며 다운은 https://www.openmediavault.org/ openmediavault - The open network attached storage solution Posted: 10. March 2020 The openmediavault project joined the OIN – Open Invention Network. Posted: 4. March 2020 openmediavault 4.1.35 Customize collectd.service unit file. Make sure it is started after th..
라즈베리파이로 NAS diy (1) - 계획단계 필자는 노트북을 활용하기에 항상 공간이 부족하다 분명히 1년전에 산 최신형 삼성 노트북이건만 (ssd는 pm981 256gb더라) 프로그램깔고 이것저것하면 어느새 40기가 남아있다. 물론 프로그램만 깔면 90기가 남게 되엇었지만 영화와 각종 애니유익한 동영상을 다운받다보면 저렇게 된다. 아마 저것도 지금은 파란불이지만 몇 개월뒤면 빨간불로 변할것이다.... 그래서 NAS를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마침 집에 노는 하드디스크가 2개쯤 있다.) NAS에 대한 설명은(평소라면 했지만 이 계시글 보는사람들은 다 알고 있을거라 생각하기에) 대충 개인 파일 저장용 서버라고 해두고 https://namu.wiki/w/NAS(%EC%A0%80%EC%9E%A5%EC%9E%A5%EC%B9%98) NAS(저장장치..